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케팅통찰력확보5

그 외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요인들과 관련 이론들 (1) 자가제시동기 (self-presentation motivation) 사람들은 타인에게 긍정적인 인지 및 평가를 통해서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자 전략적으로 자기 자신의 말과 행동을 통제를 하고, 맞이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타인에게 끊임없이 조절된 자기제시(self-presentation)를 하면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고프만(Goffman)의 정의에 의하면 자기제시를 자신에 대한 타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려는 무의식적 혹은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자기제시는 타인에게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행위로, 자기 자신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행동을 의미하며 사회적 세계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고유성을 타협해가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입니다.. 2022. 4. 25.
구매 의사 결정 과정 (2) [4단계] 구매의사결정 (purchase decision) 소비자 선택의 보상적 모델 (compensatory model) 여기서 전단계의 각각의 속성에 대한 평가는 명확히 얘기하자면 객관적인 평가 가 아니고 브랜드 신념(brand beliefs)에 의한 평가의 결과로써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특정 브랜드에 대한 신념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즉, 소비자는 특정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속성 평가 과정을 통해 그 브랜드들에 대한 태도, 판단, 선호성 등을 갖게 됩니다. 즉 일련의 신념이 수립되는 것입니다. 기대-가치 모델(expectancy-value-model)은 소비자의 중요성 인식에 따라 각 브랜드별 신념에 그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하여 그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평가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써.. 2022. 4. 24.
구매 의사 결정 과정 (1) 소비자의 구매행동들은 매우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을 겪기 때문에 다양한 학술적 연구들이 지난 수십 년간 진행되어 왔습니다. 선행연구들에서 구매의사결정과정 (buying decision making process)은 필요인식, 정보의 탐색, 대안의 평가, 구매의사결정 및 구매 후 행동의 5단계 과정을 겪는다는 공통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신제품이나, 고가 제품, 복잡한 제품 혹은 내구성이 길어서 신중한 구매 의사결정 등이 필요한 제품 등의 구매 시, 이 5단계 과정을 모두 거칩니다. 반면, 특정 구매 상황이나, 특정 제품의 관여도 및 소비자의 소비경험에 따라 다음의 단계 중 일부가 생략 되기도 합니다. 1단계 : 필요 인식 (need recognition) 2단계 : 정보 탐색 (information.. 2022. 4. 23.
소비자행동의 이해 : 동기 (프로이트 이론, 매슬로의 욕구 5계층이론) 동기(motivation) 는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인간이 행동을 하고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요인으로 개인의 내부에 있는 욕구, 필요, 추진력, 충동 등으로 정의되며, 동인(motive) 이라고도 합니다. 인간의 동기에 대해 연구한 여러 이론들이 있으나 그중 가장 대표적인 동기 이론은 프로이트 이론, 매슬로 이론과 허즈버그 이론입니다. 프로이트 이론 (Freud Theory) 프로이트(Freud)는 사람들의 행동을 형성하는 심리적인 힘은 무의식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본질적으로 인간은 본인의 동기를 완전히 이해 못하고 무의식적인 단서에 반응함을 설명하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의식 수준을 전의식, 의식, 무의식으로 나누었습니다. 전의식은 억압되어 있지만 주의를 집중하면 의식으로 회상.. 2022. 4. 22.
반응형